Using Custom Git Flow in KT

Git Flow

먼저 아주 유명한 Git Flow 이미지를 보자

gitFlow.png

Custom?

Git Flow는 크게 5개의 브랜치를 사용하고 있다.
master, develop, release, hotfix, feature

그러나 내가 KT에서 사용할 때는 사실 5개까지 필요가 없어 release branch를 삭제하고 아래와 같이 용도를 변경하였다.

  1. master : 현재 상용버전으로 구글 마켓과 원스토어에 올라간 apk의 버전
  2. develop : QI 이후 최신의 검증버전 ( - 검증 때 마다 push)
  3. hotfix : 배포 전 검증 중 긴급 수정 시 push
  4. feature : 새로운 요구사항 및 고도화 등의 신규개발 시 개발 기능이나 WBS의 마일스톤 아이디로 트리형식의 구조로 생성


위와 같이 release를 삭제하고 4개의 브랜치를 사용하였다.

특히나 많이 사용한 브랜치는 당연히 feature 브랜치로, 주로 아래와 같이 사용하였다.

  1. 4.0 고도화 등 신규개발이 필요할 때 WBS의 마일스톤 ID 및 기능 ID로 신규 브랜치 생성
    (ex : feature/04.00.00/M1/1.3, feature/04.00.00/M1/1.4, feature/04.00.00/M2/4.1 등등..)
  2. 유지보수하며 생긴 SM 과제 기능으로 신규 브랜치 생성
    (ex : feature/03.00.02/Benefit, feature/03.00.02/Navigation, feature/03.00.03/MarketingBanner, 등등..)

(다시 보니 마켓 업데이트 버전도 앞에 적어주었었다.)

개인적으로는 커맨드로 입력하는것도, 소스트리를 이용하는것도 좋았지만 시각적으로 브랜치 구조를 확인하기에는 소스트리가 최고였던 것 같다.
그리고 위와같이 “/” 를 통해 브랜치의 깊이를 나눠준다면 소스트리에서 브랜치가 트리구조로 내려가는것도 확인하였다.

왜 release를 제외했는지는 내부적인 구조때문에 이야기 할 순 없지만 내가 찾은 KT패밀리박스에서의 git branch 전략은 저게 최선이었던 것 같다.ㅠㅠ

사실 처음에는 안드로이드는 혼자 담당하는데 다른 사람들처럼 SVN 쓰듯이 1자로 쭉 add, commit, push만 할까도 생각했었다.
그러나 평생 나 혼자 개발할 것이 아니기에 패밀리박스를 하며 1인 다역을 해서라도 깃을 사용하여 협업하는 습관을 기르고 싶었기에 위와 같은 전략을 세우게 되었다.
KT가 내부적으로 조금 더 간소화된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었다면, branch도 줄지 않았을까..ㅎㅎ